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아페리토타워
재외국민

전체 가입 회원수 : 201,419 명

필리핀 역사 이야기 - 농민들의 대 반란

페이지 정보

글쓴이 : 마간다통신 댓글 0건 조회 1,630회 작성일 14-12-15 10:46

본문

Huk Rebellion이라고도 함.
필리핀 루손 중부에서 공산주의자들의 지휘하에 일어났던 농민 봉기(1946~54).




이 운동의 이름은 ‘항일 인민군’을 뜻하는 타갈로그어 ‘Hukbo ng Bayan Laban sa Hapon’의 머리글자에서 따온 것이다. 은 1950년대에 들어 거의 승리를 쟁취하는 듯했으나, 그뒤 필리핀 정부에게 지원된 첨단 미제 무기와 카리스마적인 필리핀 대통령 라몬 막사이사이의 행정개혁으로 인해 급격히 수세에 몰리게 되었다.

루손의 중부평원은 수많은 농민들이 광대한 영지에서 소작농으로 일하고 있던 기름진 농업지역이다.
부유한 소수와 가난에 쪼들리는 대중들 간의 확연한 대비로 필리핀 역사상 스페인 통치시기에 농민혁명이 주기적으로 발생하곤 했다. 1930년대에 루손 중부는 공산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의 조직적인 활동 중심지가 되었다. 이러한 갈등은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표면화되었다.

동남아시아의 다른 국가들과는 달리 필리핀인들은 일본에 강력하게 저항했다. 바탄이 일본에 점령되자(1942. 4) 조직화된 유격대들은 일본에게 점령된 지역을 되찾기 위한 투쟁을 벌였다. 이중 후크발라하프 조직이 가장 성공적인 유격투쟁을 벌였는데 이들은 수천 명의 일본군을 죽였다.

또한 이들은 일본에 협력한 부유한 필리핀인들을 암살의 주요대상으로 삼았으며, 전쟁이 끝날 무렵 루손 중부의 광대한 영지 대부분을 장악했다. 이들은 지방정부를 세우고 세금을 거두어들였으며 자신들의 법을 집행했다.

필리핀의 미군은 후크단의 지휘권이 공산주의자들의 손에 있었기 때문에 이들을 신뢰할 수 없는 상대로 간주했다. 후크단과 필리핀 정부 사이에는 곧 무기반납을 둘러싸고 긴장이 고조되었다. 후크단은 그들이 보유한 약 50만 자루의 총을 정부에 반납하는 데 소극적이었다. 이는 그들이 필리핀 정부를 과두 독재정부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미국으로부터 필리핀의 독립은 1946년 7월 4일로 예정되어 있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포인트 정책 [쓰기 500 | 읽기 0 | 코멘트 30]
Total 1,974건 1 페이지
필리핀 라이프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974
미래1
03-16 538
1973
늘푸른나무
03-15 481
1972
fills…
03-12 519
1971
귀족님
03-12 477
1970
리버사이두…
03-11 462
1969
jjj70…
03-09 568
1968
오산여중짱
03-09 513
1967
떠떠기
03-07 498
1966
등업될까요 댓글(1)
디노쨩
03-07 549
1965
pardi…
03-07 469
1964
jin24…
03-06 475
1963
마간다로꿈…
02-28 466
1962
데오스
02-27 479
1961
마간다회원…
02-27 498
1960
파리꼬숑
02-25 471
1959
등업하려면 댓글(1)
시이게
02-24 462
1958
fjtn
02-23 481
1957
논현꿀주먹
02-21 469
1956
리맃
02-20 458
1955
해로운것
02-20 478
1954
떠떠기
02-13 489
1953
일심
02-12 465
1952
메가휴톤
02-11 499
1951
김밥바
02-10 477
1950
Shawn…
02-10 478
1949
리아스트
02-10 460
1948
Terry…
02-10 473
1947
전라도블루…
02-09 477
1946
케이81
02-09 478
1945
Rur12…
02-08 465
1944
도리돌이도…
02-07 471
1943
TZanG
02-05 598
1942
희엘
02-05 458
1941
숲속의남자
02-02 461
1940
마니마니8…
02-02 458
1939
궁금족1
01-31 456
1938
왼긩보니
01-27 451
게시물 검색
subic